제목 | 도시근로자 소득구간별 혜택 |
---|---|
작성자 | 행복한코코 |
등록일 | 2025-07-15 |
조회수 | 52 |
정부혜택과 관련된 내용을 보면, 중위소득이니,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이니, 근로자 소득이니 .. 비슷한 듯한 용어들이 많죠?
오늘은 <도시근로자 소득 구간별 혜택>에 대해 정리해 드릴께요.
⭕️우선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은 왜 분류할까요?
주로 청약이나 주거복지, 대출정책 등에 활용 되는데,
도시지역에 거주하고, 근로소득이 주수입원이며, 2인이상 가구를 기준으로 해요.
자영업자가구, 농어가, 공적소득중심가구 는 제외고요.
⭕️도시근로자 소득구간별 월평균소득은 (2025년 기준, 4인가구 예시, 세전)
ㆍ50%이하 : 4,289,044원 ㆍ70%이하 : 6,004,662원 ㆍ100%이하 : 8,578,088원 ㆍ120%이하 : 10,293,706원 ㆍ140%이하 : 12,009,323원
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
⭕️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은
🎈주택청약 자격 판단에 사용 됩니다. 신혼희망타운, 생애최초 특별공급, 국민임대 등 소득기준에 따라 청약가능 여부가 결정되고요.
🎈복지정책 기준으로도 사용되고, (기초생활보장, 차상위계층지원, 영구임대주택 등 )
🎈금융상품자격 (주택구입자금 지원)
🎈경제지표로서의 역할 (소비여력, 경제참여율파악)
🎈소득구간별 정책에 적용 됩니다.
|
이전글 | 현금 증여 계획 세우기 |
---|---|
다음글 | 결혼식 드레스 기억나세요? |